:::: (주)손해사정 법인 BS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HOME >보상정보> 의학자료실


의학자료실

관상동맥 우회수술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1-01-21 18:19 조회1,006회 댓글0건

본문

관상동맥질환의 외과적 치료

1) 심장의 기능과 관상동맥
심장은 온몸에 피를 보내주는 펌프와 같습니다. 심장은 심근이라 불리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축과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이러한 펌프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신체의 모든 근육들처럼 심근도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가 필요합니다. 심근은 심장표면의 관상동맥이라고 불리는 3개의 주요한 혈관들로부터 이러한 것들을 공급 받습니다. 3개의 관상동맥이란 좌동맥동에서 기시하는 좌주관상동맥이 둘로 나뉘어진 좌전하행동맥과 좌회선동맥, 그리고 우동맥동에서 기시하는 우관상동맥을 말합니다.


2)관상동맥질환과 협심증
일반적으로 말하는 관상동맥질환이란, 동맥경화증이 심해져서 관상동맥의 협착이 진행되고 이로 인하여 심근의 혈류공급에 장애가 생기는 병변을 지칭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동맥경화증이 오게되면 혈관은 딱딱해지고, 콜레스테롤, 다른 지방성분, 칼슘, 기타 혈중성분 등이 한데 덩어리져 관상동맥의 내면에 축적되면 혈관벽은 두꺼워지고 그 내경은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혈전이 생성되어 갑자기 동맥이 막힐 수도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은 처음에는 전혀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대부분 서서히 진행합니다. 증상이 발현하는 경우에는 흔히 협심증이라고 알려져 있는 전흉부의 통증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심근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무산소대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협심증에서 보이는 통증의 양상은 바늘로 찌르는 것과 같은 예리한 통증보다는 심하게 조이는 듯한 느낌, 뻐근함, 무거운 것으로 눌리는 압박감, 터질듯한 답답함, 화끈히 달아오르는 등의 느낌으로 나타나며, 이와 함께 환자는 기운이 빠져 피로감을 느끼거나 숨이 차며 속이 메스꺼운 증상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은 수십 초에서 30분까지 지속될 수 있지만 대개는 2-3분 정도 이어지다가 사라집니다. 통증은 대개 흉골의 바로 안쪽에서 느껴지며, 때로는 이러한 통증이 목, 턱, 왼쪽 어깨, 왼쪽 팔로 번지기도 합니다.

운동이나 감정적인 흥분은 심장으로 하여금 더많은 일을 수행하게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심근의 산소요구량도 늘어나 이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행증상이 없이 곧바로 심근경색증(심장발작)이나 심장마비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응급 조처가 따르지 않으면 생명이 위독하게 됩니다.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게 되어 심장일부에 대한 혈액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면 해당부위의 심근이 영구적인 손상을 받게되는데, 심한 흉통이 지속되고 심장의 수축력도 감소하게 되며, 이를 흔히 (급성)심근경색 또는 심근발작이라고 부르며, 보통 동맥경화성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에 갑자기 혈전이 생겨서 발생합니다. 심장경색 환자의 약 1/4정도는 급작스런 심장마비의 형태로 이어져 사망하게 되는데 사망위험율은 심장발작 2시간 이내가 가장 높습니다. 그러므로 가슴통증이 처음 시작되거나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흉통이 지속적일 때는 가능한 빨리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3) 관상동맥질환의 예방
헙심증이나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는 동맥경화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몇 가지 위험인자로 불리는 특성과 습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이 병에 걸릴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러한 위험인자에는 연령, 성별, 가족력같이 고칠 수 없는 인자도 있지만 미리 알아 개선할 수 있는 요소도 있습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또 부모나 형제자매가 같은 질환을 앓았던 경력이 있는 경우에 이러한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위험인자들이 있는데, 흡연, 고혈압,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치가 그것입니다. 이들 중 어느 한가지라도 있으면 동맥경화증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두, 세 가지가 함께 있으면 그 가능성이 수배나 증가합니다. 그 외 위험인자로는 비만, 당뇨, 운동결핍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위험인자를 잘 파악하고 개선하려는 다각도의 노력과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전문 의료진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4) 관상동맥질환을 치료하는데는 어떤 방법들이 있나요 ?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는 크게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과적 치료로는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진행을 막기 위해 고혈압이나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교정하며,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요법, 관상동맥의 협착부위를 넓혀주는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등이 있습니다.

보편적인 외과적 치료로는 관상동맥의 협착부위를 우회하게 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이 있으며, 그 외 협착을 유발하는 관상동맥의 내막을 절제해주는 술식이나, 좁아진 부위를 심낭패취 등으로 덧대어 넓혀주는 혈관성형술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어떠한 치료를 받을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각각의 치료방법이 장단점과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